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또의 슬기로운 생활105

금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금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대표적인 안전자산, 금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입니다. 금은 오래전부터 지역과 시대를 막론하고 인류가 화폐와 귀금속으로 활용할 만큼 희소가치가 큰 금속이었습니다. 세계 금 위원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인류가 채굴한 금의 양은 약 20만 1296톤이며, 앞으로 더 채굴할 수 있는 금의 매장량은 약 5만 3000천 톤으로 추정됩니다. 지상의 모든 금들을 모아 쌓아서 정육면체를 만들 경우, 각 면의 길이는 22미터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이 정도로 금은 희귀한 금속입니다. 금은 세계 어디서나 통용되는 자산으로, 금을 들고 어느 나라를 가던 돈과 바꿀 수 있어 환금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물가가 상승해도 가치가 떨어지지 않아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대.. 2022. 7. 25.
미국, 왜 통화스와프에 소극적일까? 미국, 왜 통화스와프에 소극적일까? 환율 상승 지속 원달러 환율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7월 15일 종가 기준으로 달러당 1326.1원까지 올랐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진이 남아있던 2009년 4월 29일 달러당 1340.7원 이후 가장 높게 오른 수치입니다. 요즈음의 상승세를 제외하고, 환율이 높게 올랐던 것은 지난 2020년 초 코로나가 막 유행하기 시작했을 때입니다. 당시 환율은 한때 달러당 1296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이에 외화자금 시장에서 달러 유동성이 부족할 것으로 보이자 2020년 3월 19일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총한도 6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통화스와프를 통해 환율은 다시 하락하며 진정세를 되찾았고, 미 연준이.. 2022. 7. 23.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본 포스팅은 『식량위기 대한민국』(남재작)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식량 가격 급등 현황 식량 가격이 급격히 올랐습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서 발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코로나 이전인 18~19년 월평균 95포인트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작년부터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월평균 125.7포인트로 급등하더니, 올해 들어 지난 3월에는 159.7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최근 조금 하락해 지난 6월 154포인트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입니다. 국제곡물이사회와 시카고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쌀가격은 1톤당 평년 923달러에서 지난 6월 1439달러로 올랐습니다. 밀은 187달러에서 386달러로, 대두는 337달러에서 624달러로, 옥수수는 154달러에서 302달러로 올랐습니다... 2022. 7. 20.
FAANG 2.0에 대해 알아봅시다 FAANG 2.0에 대해 알아봅시다 원조 FAANG과 FAANG 2.0 2009년 2월부터 최근까지 나스닥시장은 크게 성장해왔습니다. 빅테크 기업의 성장과 함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오랫동안 이어진 저금리 기조와 미 연준의 완화정책이 맞물렸기 때문입니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10년간 1400에서 최대 16200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올해부터 우크라이나전쟁에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면서 미 연준이 고강도의 금리 인상과 긴축정책을 시작해 나스닥은 그간의 영광을 뒤로하고 하락하고 있습니다. 수년간 뉴욕 증시의 붐을 주도했던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의 주가도 빠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포춘지에 나온 FAANG 기업들의 YTD 그래프입니다. 인플레이션과 우크.. 2022. 7. 18.
금리 변경 관련 용어 정리 (마이크로스텝부터 울트라스텝까지) 금리 변경 관련 용어 정리 (마이크로스텝부터 울트라스텝까지) “한국은행 사상 첫 빅스텝, 기준금리 연 2.25%” (TV조선) “美 자이언트스텝은 옛말?…시장 "울트라스텝 확률 81%" (매일경제) 2008년 이후 지속되었고, 코로나 유행 기간 더욱 강해졌던 저금리 기조가 저물고, 세계 각국이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올해 경제 뉴스에서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 등관련 용어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금리 변경과 관련한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금리를 올리거나 내릴 때, 그 변화양상이 마치 계단과 같다고 하여 금리 변경을 ‘스텝’이라 지칭합니다. 이때 금리의 변경 폭에 따라 마이크로스텝, 베이비스텝,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이라고 부릅니다. 이 중 금리 변경의 기준이.. 2022. 7. 17.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법 3가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법 3가지 인플레이션은 조용한 자산털이범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오면 식료품부터 기름값에 이르기까지 가격이 오르며 개인의 구매력은 감소합니다. 경기가 좋을 때의 일반적인 물가상승률은 2~3%입니다. 그러나 요즘 같은 급격한 인플레이션 시기의 물가상승률은 그 수준을 훨씬 넘습니다. 가장 최근인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6%, 미국은 9.1%에 육박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시기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가만히 앉아 인플레이션이 내 지갑 속 돈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마냥 지켜봐야 할까요? 오늘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법1.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방법 첫 번째는 나의 소비를 파악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최대한 줄.. 2022. 7. 15.
7월 한국은행 빅스텝 이유 7월 한국은행 빅스텝 이유 7월 한국은행 빅스텝 단행 한국은행이 7월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보다 0.5%P 올렸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기존 1.75%에서 0.5%P 상승한 2.25%가 되었습니다. 이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한 번에 금리를 0.5%P 올린 이른바 ‘빅스텝’으로 이렇게 한 번에 큰 폭으로 금리를 인상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또한 지난 4월부터 4월, 7월 연속으로 세 차례 금리를 인상한 첫 사례이기도 합니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코로나 대유행 시기였던 21년 0%대의 저금리를 유지했었던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이제 2014년 10월 이후 7년 8개월 만에 2.25%로 돌아왔습니다. ※ 2022년 7월 한국은행 빅스텝 (기준금리 0.5%P 인.. 2022. 7. 14.
물가상승에 대해 알아봅시다 물가상승에 대해 알아봅시다 물가와 물가상승 물가(物價)란 말 그대로 물건의 값. 시장에서 유통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뜻합니다. 이 물가란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오르기 마련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며 소비와 투자가 활발해지면 재화, 서비스와 함께 상품을 만드는 원재료와 부품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합니다. 이에 따라 노동자의 임금이 상승하고, 이는 더 많은 소비를 일으키며 물가가 다시 오르기 때문입니다. 영화 이야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영화 속 송강호 배우가 연기한 주인공 만섭은 1980년의 택시운전사입니다. 만섭은 택시비로 10만원을 지불하겠다는 독일 기자의 말에, 그를 태우고 광주로 향합니다. 오늘날 10만원을 갖고 택시를 타면 광주까지 가는 것은 어림도 없습니다. 강남.. 2022. 7. 13.
유럽연합 그린 택소노미, 원전과 천연가스 포함 유럽연합 그린 택소노미, 원전과 천연가스 포함 지난 7월 6일 유럽 의회가 본회의에서 원자력 발전과 천연가스를 EU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하는 것을 승인했습니다. EU의 그린 택소노미란 무엇일까요? 원자력 발전과 천연가스가 택소노미에 포함된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오늘은 EU 그린 택소노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럽연합 그린 택소노미 택소노미란 ‘분류하다’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 ‘Tassein’과 규칙을 뜻하는 그리스어 ‘Nomos’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 ‘분류체계’를 의미합니다. 유럽연합(EU)의 그린 택소노미란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활동’을 분류하는 것입니다.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로 지구의 온도는 인류의 산업혁명 시기보다 약 1.1도 올랐습니다. 현재 기후과학자들은 지구의 온도가 산업혁명 이.. 2022. 7. 11.